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oit!자바스크립트+제어쿼리입문
- KTAIVLESchool
- 자바스크립트기초문법
- 신경망
- KTAIVLESchool5기
- 사전설명회
- 우하하!!!!
- C언어프로젝트
- 에이블스쿨5기
- 딥러닝기초
- 딥러닝
- KT에이블스쿨
- KT
- c언어
- UiPathStudio
- 커피는역시
- AivleSchool
- NeuralNetwork
- C
- coding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밑바닥부터시작하는딥러닝
- 파이팅!!!!
- 우하하!!!
- Programming
- deeplearning
- AIVLE
- 에이블스쿨
- Doit!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입문
- Today
- Total
목록X-Optimus 융합교육프로그램 (22)
삶은 계란

2021.01.07.(목)에는 소형 드론을 사용하여 드론 조종 연습 'Mission Planner'를 사용해서 드론의 나머지 설정 세팅 드론에 프로펠러 달기 소형 드론으로 간단한 경기 진행 이렇게 4가지 활동을 진행했다. 첫 번째로, 소형 드론을 사용하여 드론 조종을 연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위 사진에서 보이는 하얀색 물체 두 개가 바로 '소형 드론'이다. 무게가 아주 가볍고 조종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만 완구용 드론이라 다양한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다. 드론 조종에 익숙해지는 연습을 한 후 'Mission Planner'를 사용해서 드론의 나머지 설정을 세팅했다. Mission Planner에 들어가서 초기 설정 → 필수 하드웨어 → 무선 보정 순서로 클릭한다. 'OK'를 클릭한 후 조종기의 모..

2021.01.06.(수)에는 조별로 드론 제작을 이어서 하는 시간을 가졌다. 위 사진처럼 프레임 암 아래에 랜딩기어를 연결한다. 양면테이프로 먼저 붙이고 케이블 타이로 단단히 조인다. 그다음, 위 사진처럼 ESC와 APM 2.8을 연결한다. ESC 선을 APM 2.8의 OUTPUTS 부분에 꽂는 작업이다. OUTPUTS 부분의 1~8 숫자는 채널을 뜻하고 S, +, - 에서 S는 시그널을 뜻한다. 위 사진처럼 ESC의 노란선이 S에 오게끔 연결해야 한다. 본체의 뒷부분이 제작자를 향하도록 놓았을 때, 1시 방향 ESC는 1번 채널 7시 방향 ESC는 2번 채널 11시 방향 ESC는 3번 채널 5시 방향 ESC는 4번 채널 이렇게 채널에 맞게 연결해줘야 한다. 위 사진처럼 선들을 가지런히 모아서 APM ..

2021.01.05.(화)에는 조별로 드론을 제작하는 시간을 가졌다. 드론 제작은 사전에 정해진 조원들과 협동하여 진행하였다. 드론 제작에 쓰일 부품들 중 일부를 사진에 담아보았다. 인두기 APM 2.8 댐핑 플레이트 메인 프레임 상부/하부 프레임 암 4개 랜딩기어 4개 브러시리스 모터 4개 프로펠러 4개 ESC(변속기) 4개 수신기 GPS(외장 설치형) GPS 스탠드 전원 전선 수신기 커넥터 4개 배터리 벨크로 골드 커넥터 암놈/수놈 각각 12개 수축 튜브 12개 볼트 케이블 타이 USB 케이블 이 정도의 부품을 공급받았다. 여기서 추가적인 부품은 강사님이 나중에 제공해주신다고 한다. 여기서 랜딩기어와 GPS 스탠드는 3D 프린터로 제작했다. 우선 납땜을 위해 인두기를 예열한다. 상당히 고온이므로 화상..

2021.01.04.(월)에는 본격적으로 드론을 제작하기에 앞서, 드론에 대한 설명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강사님이 오셔서 자료를 나눠주셨다. 드론 제작, 드론 비행, 코딩 드론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드론의 종류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다. 위 사진에 보이는 방제용 드론 외에도 군사용 드론, 촬영용 드론, 택배용 드론 등이 존재한다. 최초의 드론은 군사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앞으로 자동차 산업만큼 시장이 커질 확률이 높은 분야가 드론 산업이기 때문에 배우는 것을 추천한다고 한다. 남성 같은 경우 군입대 시 드론병으로 들어가면 제대 후 드론 분야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한다. 드론 이름 앞에 있는 숫자는 드론의 크기를 나타낸다. 450이면 45c..

2020.12.31.(목)에는 슬라이서 소프트웨어 'ideaMaker' 다루기 3D 프린터 운용기능사 실기 시험 연습 이렇게 2가지 활동을 진행했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로, 슬라이서 소프트웨어 'ideaMaker'를 다루는 시간을 가졌다. 슬라이서 소프트웨어는 확장자가 STL인 3D 개체 파일을 3D 프린터가 출력 가능하게끔 변환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강사님께서 3D 개체 파일 관련 사이트를 2개 알려주셨다. 1. https://www.thingiverse.com/ Thingiverse - Digital Designs for Physical Objects Download files and build them with your 3D printer, laser cutte..

2020.12.30.(수)에는 드론 부품 3D 모델링 드론 어셈블리 이렇게 2가지 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드론 몸통 3D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YZ평면을 평면으로 잡고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XZ평면에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돌출 설정에서 '부울'을 '교차'로 설정하면 첫 번째 돌출 피쳐와 겹치는 부분만 돌출이 적용된다. 돌출과 모깎기를 적용한 모습이다. 다시 XZ평면에 새 스케치를 작성한다. 하나만 스케치하고 '미러'를 사용해 나머지 3개를 생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돌출과 모깎기를 적용한 모습이다. 위 사진처럼 원 ..

2020.12.29.(화)에는 기계요소의 도면을 보고 3D 모델링 연습 도면 작성 연습 이렇게 2가지 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세 번째 동력 전달장치 3D 모델링을 진행했다. YZ평면을 평면으로 잡고 원을 스케치해서 원기둥을 모델링한다. 원기둥 중간 부분은 위 사진처럼 튀어나오게끔 만들었다. 맨 윗부분에 새로운 작업 평면을 생성하고 탭 구멍을 뚫어준다. 위 사진처럼 구멍을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성공적으로 탭 구멍이 생성된 모습이다. 위 사진처럼 새 스케치를 작성한다. 위 사진처럼 구멍을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성공적으로 탭 구멍이 생성된 모습이다. 원형 패턴을 적용한 모습이다. 미러를 적용하기 위해서 위 사진처럼 중간 지점에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2020.12.28.(월)에는 주어진 도면을 보고 3D 모델링 연습 기계요소의 도면을 보고 3D 모델링 연습 이렇게 2가지 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로, 텍스트를 스케치해 돌출하는 연습을 했다. XZ평면을 평면으로 잡고 지름이 100mm인 원을 스케치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10mm 돌출을 적용하여 원기둥을 모델링한다. 원기둥의 윗면을 평면으로 잡고 새 스케치를 작성할 것이다. 상단 메뉴에 있는 '텍스트'를 선택하고 원하는 위치에 커서를 가져가서 1번 마우스로 한 번 클릭한다. '텍스트 형식' 창이 뜬다. 파란 박스 안에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입력한 텍스트가 생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생성된 텍스트를 1번 마우스로..

2020.12.24.(목)에는 주어진 도면을 보고 3D 모델링을 연습했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이번에는 '로프트' 기능을 활용해서 3D 모델링해보았다. 우선 XZ평면을 평면으로 잡고 위와 같은 직사각형을 그린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XZ평면의 가시성을 킨 후, 상단 도구에서 평면 → 평면에서 간격 띄우기 를 클릭한다. XZ평면으로부터 100mm 떨어진 곳에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평면에 지름이 50mm인 원을 그리고 '스케치 마무리'를 누른다. 이제 '로프트'라는 기능을 사용해볼 것이다. '로프트'를 클릭하고 적용할 스케치를 위 사진처럼 선택한다. 초록색 피쳐는 로프트 미리보기이다. '확인'을 클릭한다. 선택한 두 스케치 사이에 새로운 면이 생긴 것을 ..

2020.12.23.(수)에는 주어진 도면을 보고 3D 모델링을 연습했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로 파이프 3D 모델링을 진행했다. XZ평면, XY평면을 평면으로 잡아 각각 스케치를 작성한다. 여기서 '스윕'을 사용할 것이다. '스윕'에 들어가서 위 사진처럼 프로파일, 경로, 방향을 설정하고 '확인'을 누른다. 파이프의 휜 부분이 완성됐다. 휜 부분 맨 위를 평면으로 잡고 원을 하나 그린다. 여기서 '형상 투영' 도구를 사용할 것이다. '형상 투영'을 사용하면 객체를 현재 스케치 평면으로 투영할 수 있다. 형상 투영된 부분은 노란색으로 변한다. '형상 투영'을 클릭하고 가장 작은 원의 테두리를 1번 마우스로 클릭하면 노란색 선으로 바뀌면서 형상 투영이 된다. 이 상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