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계란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0.12.31 활동> 본문

X-Optimus 융합교육프로그램/Drone Design-Coding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0.12.31 활동>

삶과계란사이 2021. 2. 12. 01:25

 

2020.12.31.(목)에는

 

슬라이서 소프트웨어 'ideaMaker' 다루기

3D 프린터 운용기능사 실기 시험 연습

 

이렇게 2가지 활동을 진행했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로, 슬라이서 소프트웨어 'ideaMaker'를 다루는 시간을 가졌다.

슬라이서 소프트웨어확장자가 STL인 3D 개체 파일을

3D 프린터가 출력 가능하게끔 변환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강사님께서 3D 개체 파일 관련 사이트를 2개 알려주셨다.

 

1. https://www.thingiverse.com/

 

Thingiverse - Digital Designs for Physical Objects

Download files and build them with your 3D printer, laser cutter, or CNC. Thingiverse is a universe of things.

www.thingiverse.com

2. https://www.myminifactory.com/

 

MyMiniFactory | Discover STL files for 3D printing ideas and high-quality 3D printer models.

3D scanned by Scan the World community 3D printable cultural artifacts from around the globe

www.myminifactory.com

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3D 개체 파일(.stl)로 'ideaMaker'를 다뤄볼 것이다.

 

 

'ideaMaker'를 클릭해서 실행한다.

 

실행하면 뜨는 여러 가지 설정들을 휙휙 넘기면 위 사진처럼 메인 화면이 나온다.

2번 마우스로 화면 이동과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1번/3번 마우스로 화면을 회전할 수 있다.

'모델 불러오기'를 클릭하면 컴퓨터에 있는 3D 개체 파일(.stl)을 불러올 수 있다.

 

2개 사이트 중 'Thingiverse'에서 아무 파일을 다운로드하여보았다.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친 'Download All Files'를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된다.

압축 폴더(.zip)로 다운로드되므로, 다운로드 완료 후 압축을 풀어준다.

 

다시 'ideaMaker'로 돌아와서 '모델 불러오기'를 클릭한다.

압축을 풀어서 저장했던 경로로 이동한 후 해당 폴더를 클릭한다.

 

'files' 폴더를 클릭하면 안에 3D 개체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한다.

 

3D 개체를 불러온 모습이다.

개체가 갈색이면 선택한 상태이고, 하얀색이면 선택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제 'ideaMaker'의 기능들에 대해 살펴보겠다.

 

상단의 프린터 → 프린터 설정 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3D 프린터와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다.

빌드 너비, 빌드 깊이, 빌드 높이는 사용할 3D 프린터에 맞게 설정한다.

 

상단의 '이동'을 클릭하면 개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단의 '회전'을 클릭하면 개체를 회전할 수 있다.

 

상단의 '스케일'을 클릭하면 개체 전체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단의 '프리컷'을 사용하면 개체를 자를 수 있다.

 

상단의 '서포트'에서 '자동 서포트 만들기'를 클릭하면 서포트가 생성된다.

고체 재료를 녹여서 적층 하는 FDM 방식의 3D 프린터대부분 서포트를 필요로 한다.

서포트가 없으면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도중에 무너져 내릴 수 있다.

 

기본적인 기능은 이 정도가 있다. 이제 '슬라이싱'을 해볼 것이다.

 

슬라이싱 시작 전 강사님께서 '3.6.1_v2.0 설정값' 폴더를 공유해주셨다.

슬라이싱에서 템플릿을 선택할 때 사용할 예정이다.

 

'슬라이싱 시작'을 클릭한다.

 

템플릿 선택창이 뜬다. '가져오기'에서 '로컬 디스크에서 가져오기'를 클릭한다.

 

'3.6.1_v2.0 설정값' 폴더에서 위에 표시한 3개만 가져올 것이다.

 

설정을 확인하고 'OK'를 클릭한다.

 

3개 다 가져온 모습이다. '편집'을 클릭하면 템플릿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제 슬라이싱을 진행할 것이다.

위 화면에서 '낮은 품질'을 선택하고 '슬라이스'를 클릭한다.

 

'예'를 클릭한다.

 

예상 프린트 결과를 알 수 있다.

'미리 보기'를 클릭한다.

 

출력 결과를 미리 볼 수 있다.

 

 

'레이어'를 조절하면서 예상 출력 모습을 본 영상이다.

 

 

'닫기 미리 보기'를 클릭하고 '로컬 디스크로 내보내기'를 선택한다.

3D 프린터 출력용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확장자는 GCode이다. 저장하고 싶은 곳에 저장한다.

 

성공적으로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파일을 USB에 담아, 설정한 3D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다.

 

 

이제 '3D 프린터 운용기능사 실기 시험' 연습을 진행했다.

이 날 진행한 것은 '[시험 1] 3D 모델링 작업' 연습이다.

진짜 시험을 치르는 것처럼 3D 모델링, 어셈블리, 슬라이싱을 한다.

 

강사님이 설명하신 최종적으로 제출해야 될 파일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작업명 파일명  
3D 모델링 (부품 1) 1234_01.*** 확장자: 수험자 사용 소프트웨어 규격
1234_01.STP 채점용
3D 모델링 (부품 2) 1234_02.*** 확장자: 수험자 사용 소프트웨어 규격
1234_02.STP 채점용
어셈블리 1234_03.*** 확장자: 수험자 사용 소프트웨어 규격
1234_03.STP 채점용 (비번호 각인 확인)
슬라이싱 1234_04.STL 슬라이서 소프트웨어 작업용
1234_04.*** 3D 프린터 작업용
확장자: 수험자 사용 소프트웨어 규격

 

배부받은 도면을 보고 3D 모델링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Inventor로 '부품 1'을 3D 모델링한 모습이다.

 

'부품 2'를 3D 모델링한 모습이다.

 

2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어셈블리한 모습이다.

 

어셈블리를 STL 확장자로 저장할 때, '옵션'에 들어가서

단위를 밀리미터로 설정하고 저장해야 한다.

 

ideaMaker에서 STL 파일을 불러온 후, 서포트를 생성하고 슬라이싱을 진행했다.

예상 프린트 결과 화면을 띄우고 강사님께 검사를 받았다.

예상 프린트 시간이 1시간 20분 이내여야 하는데, 다행히 통과되었다.

다 마치고 파일들을 강사님 USB에 제출하였다.

 

 

2020.12.31.(목)에 연습했던 '[시험 1] 3D 모델링 작업' 결과물은 아래에 첨부하였다.

1234.zip
0.87MB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