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T
- coding
- 자바스크립트
- Programming
- 자바스크립트기초문법
- Doit!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입문
- KT에이블스쿨
- UiPathStudio
- 우하하!!!!
- AIVLE
- 신경망
- 에이블스쿨
- 커피는역시
- 파이팅!!!!
- 에이블스쿨5기
- KTAIVLESchool5기
- javascript
- AivleSchool
- NeuralNetwork
- 사전설명회
- 딥러닝
- Doit!자바스크립트+제어쿼리입문
- 딥러닝기초
- KTAIVLESchool
- deeplearning
- 우하하!!!
- C
- 밑바닥부터시작하는딥러닝
- C언어프로젝트
- c언어
- Today
- Total
삶은 계란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1.01.05 활동> 본문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1.01.05 활동>
삶과계란사이 2021. 2. 12. 01:33
2021.01.05.(화)에는 조별로 드론을 제작하는 시간을 가졌다.
드론 제작은 사전에 정해진 조원들과 협동하여 진행하였다.
드론 제작에 쓰일 부품들 중 일부를 사진에 담아보았다.
인두기
APM 2.8
댐핑 플레이트
메인 프레임 상부/하부
프레임 암 4개
랜딩기어 4개
브러시리스 모터 4개
프로펠러 4개
ESC(변속기) 4개
수신기
GPS(외장 설치형)
GPS 스탠드
전원 전선
수신기 커넥터 4개
배터리 벨크로
골드 커넥터 암놈/수놈 각각 12개
수축 튜브 12개
볼트
케이블 타이
USB 케이블
이 정도의 부품을 공급받았다.
여기서 추가적인 부품은 강사님이 나중에 제공해주신다고 한다.
여기서 랜딩기어와 GPS 스탠드는
3D 프린터로 제작했다.
우선 납땜을 위해 인두기를 예열한다.
상당히 고온이므로 화상을 입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아무 종이 박스나 꺼내서 위에 12개, 아래 12개 총 24개의 구멍을 뚫는다.
뚫은 다음 골드 커넥터 수놈을 위쪽 구멍에, 암놈을 아래쪽 구멍에 12개씩 꽂는다.
상대적으로 매끈한 골드 커넥터가 암놈이고 상대적으로 울퉁불퉁한 골드 커넥터가 수놈이다.
위 사진처럼 골드 커넥터 안에 납땜을 넘치지 않을 만큼만 한다.
그다음, 모터의 케이블 끝부분을 골드 커넥터 수놈에 납땜한다.
4개의 모터 전부 동일하다.
여기서, 윗부분이 하얀색인 모터는 역방향 회전을 하고
윗부분이 검은색인 모터는 정방향 회전을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있자.
ESC의 파란색 케이블 3가닥은 골드 커넥터 암놈에 납땜한다.
4개의 ESC 전부 동일하다.
메인 프레임 하부를 꺼내서 +, - 라고 적혀있는 모든 부분에 납땜을 한다.
고정을 잘 시키기 위해서 납을 많이 넣는 게 포인트이다.
전원 전선을 위 사진에 보이는 저 부분에 납땜한다.
빨간선이 +, 검은선이 - 이다. 반드시 알맞게 납땜해야 한다.
4개의 ESC도 위 사진에 보이는 부분에 각각 납땜한다.
마찬가지로 빨간선이 +, 검은선이 - 이다.
프레임 암 4개를 메인 프레임 하부에 연결한다.
작업하기 편하게 위 사진처럼 메인 프레임 하부를 뒤집어서 진행하는 게 좋다.
빨간색 프레임 암은 앞쪽에, 하얀색 프레임 암은 전원선이 있는 뒤쪽에 연결한다.
연결할 모든 구멍에 볼트를 미리 다 꽂아놓은 다음에 세게 조이는 게 좋다.
하나씩 볼트를 넣고 처음부터 조여버리면 다른 볼트들이 구멍에 잘 안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프레임 암 연결 작업이 끝나면 메인 프레임 하부를 다시 뒤집는다.
그다음 위 사진처럼 메인 프레임 상부와 프레임 암을 볼트로 연결한다.
이번에는 프레임 암에 모터를 각각 연결한다.
작업하기 편하게 위 사진처럼 본체를 뒤집어서 진행한다.
하얀색 프레임 암이 제작자를 향하도록 놓았을 때,
1시 방향, 7시 방향은 하얀색 모터(역방향 회전)를 연결하고
11시 방향, 5시 방향은 검은색 모터(정방향 회전)를 연결한다.
볼트로 단단히 조이고 모터 케이블은 위 사진처럼 가지런하게 모아서
프레임 암 구멍 사이로 뺀다.
수축 튜브를 ESC 파란색 케이블에 끼우고 모터와 연결한다.
이때, ESC의 평평한 부분과 프레임 암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모터와 연결해야 한다.
수축 튜브를 씌우는 이유는 연결 부분이 서로 닿으면 쇼트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모터 케이블 색은 위 사진처럼 왼쪽부터 노랑, 검정, 빨강이다.
하얀색 모터의 케이블은 그냥 노, 검, 빨 순서대로 ESC의 파란색 케이블과 나란하게 연결하면 된다.
검은색 모터의 케이블은 노, 빨, 검 순서대로 연결해야 한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ESC와 모터의 연결이 끝나면 다시 본체를 뒤집는다.
댐핑 플레이트 상부와 하부를 파란 고무 4개로 연결한다.
댐핑 플레이트는 FC의 진동, 추락 시 발생하는 충격을 줄여 FC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위 사진처럼 APM 2.8을 댐핑 플레이트 위에 양면테이프로 붙인다.
APM 2.8 위에 그려져 있는 화살표가 본체의 앞쪽을 향하게끔
전체 부품을 위 사진처럼 메인 프레임 천장 위에 양면테이프로 붙인다.
'X-Optimus 융합교육프로그램 > Drone Design-Co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1.01.07 활동> (0) | 2021.02.12 |
---|---|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1.01.06 활동> (0) | 2021.02.12 |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1.01.04 활동> (0) | 2021.02.12 |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0.12.31 활동> (0) | 2021.02.12 |
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0.12.30 활동> (0) | 2021.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