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동계 Drone Design-Coding <2020.12.30 활동>
2020.12.30.(수)에는
드론 부품 3D 모델링
드론 어셈블리
이렇게 2가지 활동을 진행하였다.
학습했던 내용들을 이 글에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드론 몸통 3D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YZ평면을 평면으로 잡고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XZ평면에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돌출 설정에서 '부울'을 '교차'로 설정하면 첫 번째 돌출 피쳐와 겹치는 부분만 돌출이 적용된다.
돌출과 모깎기를 적용한 모습이다.
다시 XZ평면에 새 스케치를 작성한다. 하나만 스케치하고 '미러'를 사용해
나머지 3개를 생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돌출과 모깎기를 적용한 모습이다.
위 사진처럼 원 4개를 스케치하고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돌출을 적용한다. 돌출 설정의 '방향'을 '비대칭'으로 선택하고
거리를 각각 입력한다. '확인'을 클릭한다.
돌출과 모깎기를 적용한 모습이다.
다시 XZ평면에 새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돌출과 모깎기를 적용하고, 4개의 구멍을 생성한 모습이다.
생성한 정사각형 면에서 25m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평면에 위와 같은 스케치를 작성하고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상단에 있는 '분할' 도구를 클릭한다.
'도구'는 스케치를 선택하고, '솔리드'는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선택한다.
'확인'을 클릭한다.
분할이 적용된 모습이다. 여기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상단에 있는 '직접 편집' 도구를 클릭한다.
적용할 부분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초록색으로 변한다.
1번 마우스로 한 번 클릭하면 파란색으로 바뀌며 화살표가 뜬다.
원하는 방향의 화살표를 1번 마우스로 클릭한 상태에서 당기면
들어간 깊이 또는 돌출한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직접 치수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정 완료 후 + 를 클릭한다.
2mm 깊이로 들어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스케치 가시성을 켜고 돌출을 적용한다.
돌출 설정을 위와 같이 설정하고 '끝'은 2mm 깊이로 들어간 부분의 바닥을 선택한다.
'확인'을 클릭한다.
돌출과 모깎기를 적용한 모습이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직접 편집'을 사용해서 2mm 좁게 만들었다.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하고 돌출의 '잘라내기'를 적용한다.
모깎기까지 적용한 모습이다.
'쉘'을 클릭하고 두께를 2mm로 지정한다.
1번 마우스로 바깥면을 선택한다.
'면 제거'를 클릭하고 한번 더 바깥면을 선택한다.
'확인'을 클릭한다.
쉘이 적용된 모습이다.
상단에 있는 '결합'을 클릭한다.
'기본 본체'는 드론 몸통을 선택하고, '도구 본체'는 남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선택한다.
'확인'을 클릭하면 드론 몸통 윗부분이 깔끔해진다.
XZ평면의 가시성을 켜고 13mm 떨어진 곳에 새로운 평면을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평면에 위와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돌출의 '잘라내기'와 모깎기를 적용한 모습이다. 평면의 가시성은 꺼준다.
YZ평면의 가시성을 켜고 120m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평면에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간격 띄우기'를 사용해서 스케치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돌출의 '잘라내기'를 적용한다.
드론 몸통 3D 모델링이 완성되었다.
두 번째로, 드론 부착용 카메라 3D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XZ평면을 평면으로 잡고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평면'을 클릭하고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각각 클릭하여
중간 부분에 새로운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평면에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회전'을 적용한다.
회전축을 생성하기 위해 스케치 가시성을 켠다.
상단에 있는 '축'을 클릭한다.
초록색으로 표시된 면을 먼저 선택하고, 스케치의 중심점을 선택한다.
회전축이 생성된 모습이다. 스케치 가시성은 꺼준다.
구에 '원형 패턴'을 적용하고, 회전축의 가시성을 끈 모습이다.
왼쪽 사진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평면으로부터 -2m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미러'를 적용하고 평면의 가시성을 꺼준 모습이다.
맨 윗면에 원 4개를 스케치하여 구멍을 생성한 모습이다.
맨 아랫면에 왼쪽 사진과 같은 원을 스케치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XY평면에 위와 같은 스케치를 작성하고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돌출을 적용한 모습이다.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하고 비대칭 돌출을 적용한다.
'간격 띄우기'를 사용해 왼쪽 사진과 같은 스케치를 작성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모깎기를 적용해서 최종적으로 완성한 모습이다.
세 번째로, 드론 프로펠러 3D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XZ평면을 평면으로 잡고 원을 스케치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YZ평면에 위와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YZ평면의 가시성을 켜고 12m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평면에 위와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첫 번째로 생성한 작업 평면과 25m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평면에 위와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두 번째로 생성한 작업 평면과 20m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작업 평면을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평면에 위와 같은 스케치를 작성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한다.
위 사진처럼 4개의 스케치에 로프트를 적용한다.
스케치들을 선택한 후 '확인'을 클릭한다.
로프트를 적용하고 평면들의 가시성을 끈 모습이다.
끝 부분에 모깎기를 적용한 모습이다.
원형 패턴을 사용해 반대쪽도 피쳐를 생성한 모습이다.
윗부분에 원을 스케치하여 돌출 후 모깎기를 적용한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모습이다.
네 번째로, 드론 프로펠러 고정대 3D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XZ평면에 왼쪽 사진과 같은 직사각형을 스케치한다.
'스케치 마무리'를 클릭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다시 XZ평면에 원 2개를 스케치하고 돌출을 적용한다.
모깎기까지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완성된 모습이다.
이제 3D 모델링한 부품들을 조립하는 '어셈블리' 시간을 가졌다.
먼저, 드론 프로펠러와 고정대의 어셈블리를 진행하였다.
파일 → 새로 만들기 순서로 클릭한 다음, 'Standard.iam'을 선택하고 '작성'을 클릭한다.
초기 화면에서 상단에 있는 '배치'를 클릭한다.
3D 모델링한 부품들을 불러오는 도구이다.
드론 프로펠러와 고정대를 불러온 모습이다.
두 부품에 메이트 구속을 줄 것이다.
상단에 있는 '구속' 도구를 클릭한다.
프로펠러 밑부분을 사진과 같이 초록색 선과 점이 떴을 때 선택하고,
고정대 윗부분도 초록색 선과 점이 떴을 때 선택한다.
'적용'을 클릭한다.
프로펠러와 고정대를 사진처럼 초록색 일점쇄선이 떴을 때 각각 선택한다.
'확인'을 클릭한다.
두 부품에 메이트 구속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왼쪽 메뉴에서, 프로펠러와 고정대 각각의 XY평면 가시성을 켜준다.
상단에 있는 '구속' 도구를 클릭하고 '유형'은 '각도', '각도'는 270으로 설정한다.
첫 번째로 프로펠러 XY평면을 선택, 두 번째로 고정대의 XY평면을 선택,
세 번째로 사진에서 노란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을 선택한다.
'확인'을 클릭한다.
고정대와 프로펠러에 각도 구속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왼쪽 메뉴에서 '각도'를 3번 마우스로 클릭하고 '드라이브'를 선택한다.
'시작' 값과 '끝' 값을 지정하여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체 드론 부품 어셈블리를 진행하였다.
새 파일을 열고 전체 드론 부품을 불러온다.
'프로펠러 + 고정대' 조립품은 4개를 배치한다.
위에서 했던 것처럼 드론 몸통과 카메라에 메이트 구속을 준다.
드론 몸통과 카메라에 메이트 구속이 적용된 모습이다.
'프로펠러 + 고정대' 조립품과 드론 몸통에 각각 메이트 구속을 준다.
최종적으로 드론 어셈블리가 완성되었다.
2020.12.30.(수)에 진행했던 3D 모델링, 어셈블리 결과물은 아래에 첨부하였다.